검진 목록

  1. Q

    유방암 검사는 몇 개월마다 받는 것이 좋은가요? 

    유방암 검사는 크게 유방초음파와 유방촬영이 있습니다. 유방촬영은 특이한 소견이 없다면 2년에 한번 검진 때 촬영하시면 됩니다. 유방초음파도 특이 소견이 없다면 검진 때마다 시행하지만 결절이 있다면 결절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3, 6, 12개월마다 추적 검사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Q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검사를 꼭 같이 해야 하나요?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는 확인하고자 하는 결절의 종류가 차이가 있으므로 시기에 따라 둘 다 검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유방촬영술에서 확인되는 미세석회화는 초음파에서 확인이 되지 않고, 유방초음파에서 확인되는 유방실질내의 작은 결절은 유방촬영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3. Q

    유방촬영술에서 석회화가 보이는데 혹시 암인가요? 

    석회화라는 것은 달걀 껍질 처럼 석회화된 단단한 조직을 말합니다. 유방촬영술에서 석회화가 있는 것이 암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아주 작은 석회화가 군집을 이루고 있다면 수술적인 방법으로 조직을 확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4. Q

    유방촬영술 너무 아픈데, 꼭 해야 하나요? 

    미세석회화는 유방초음파에서 확인이 되지 않아 적절한 시기의 유방촬영술은 꼭 필요합니다.

  5. Q

    치밀 유방이 뭔가요? 

    치밀 유방은 유방을 이루고 있는 조직 중에 지방을 제외한 실질, 즉 유관과 유선과 인대의 부분이 조밀하게 뭉쳐있는 것을 얘기하며, 이런 경우 유방촬영을 하였을 때 유방조직이 과다공명(흰색으로 나타나는 비중이 높음)으로 촬영되어 결절이나 미세석회화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6. Q

    갑상선암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갑상선암 검사는 갑상선 초음파에서 결절이 확인되었을 경우 채혈할 때 사용하는 얇은 바늘을 이용하여 초음파 유도하에 결절 내의 세포들을 채취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암의 유무를 진단합니다.

  7. Q

    갑상선암 조직 검사를 하면서 암이 퍼질 수 있나요? 

    갑상선 결절의 세포흡인검사에서 주사기 내에 상시적인 음압이 걸려있어 세포검사에서 암조직이 퍼질 가능성은 없으므로 안심하고 검사를 받으셔도 됩니다.

  8. Q

    갑상선암은 여성에서만 발생하나요? 

    갑상선암 발생은 여성이 남성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남성에게 발생하면 예후가 나쁘다는 통계도 있지만, 조기 발견한 경우 예후가 차이 나지 않아 남성이든 여성이든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9. Q

    내시경 검사전 후 주의사항 

    전날 저녁 식사 후 금식을 꼭 하십시오. 

    <>고혈압, 천식, 심장질환, 간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은 검사 전에 꼭 말씀하셔야 합니다.  대장 검사 시에는 병원에서 드리는 약을 정확하게 복용하셔야 합니다.  검사 후 금식 여부에 대한 설명을 들으시고 지켜주셔야 합니다.  치료내시경 후 특히 용종 제거시 의사의 설명을 들으시고 정확하게 지켜주셔야 합니다.

  10. Q

    내시경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위 내시경은 검사 자체만으로는 5 ~ 10분 정도 걸리며 검사 전 마취와 주사 시간을 포함하면 약 15 ~ 20분 정도면 끝납니다.  혹 다른 병변이 있거나 조직검사를 할 경우에는 더 걸릴 수 있습니다. 

    <>대장내시경은 대략 20-30분 정도 걸립니다.  장이 원래 꼬불꼬불한데 환자에 따라 특히 더 많이 꼬불해져 있거나 민감하면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11. Q

    수면내시경을 하면 정말로 아무것도 모르나요? 

    수면내시경이라기보다는 진정하 내시경이라는 말이 더 맞을 듯 합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내시경보다는 훨씬 편하게 내시경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민하거나 검사 당일의 상태에 따라 진정유도상태가 다를 수 있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당일 운전이나 약속 등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12. Q

    검사하고 나면 음식은 바로 먹어도 되나요? 

    위내시경을 하고 나면 가래가 걸린 듯한 불편한 느낌이 듭니다.  이것은 30 ~ 40분 정도 지난 후에 괜찮아지는데 그 후에 자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드시면 됩니다.  헬리코박터 균 검사를 하는 경우 1시간 정도 금식하시고 그 후에 드십시오.  대장내시경은 음식섭취와는 무관합니다.  배에 가스가 차서 불편하실 수 있는데 조금 나아지시면 아무거나 드셔도 되나 되도록 부드러운 음식이 좋습니다.

  13. Q

    내시경을 하고 나면 언제 다시 해봐야 하나요? 

    내시경 후 이상이 있을 때는 의사지시에 따라 6개월이나 1년에 한번씩 하면 되고 40세 이 후나 건강 검진 목적이라면 매 2년마다 하시면 좋습니다.

  14. Q

    내시경이 끝났는데 왜 배가 아픈가요? 

    시술 중 내시경 시야 확보를 위해 장내로 공기를 넣는데, 장관에 갇힌 공기로 인해 장관이 늘어나서 상복부 혹은 하복부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이때는 걷는다든지 몸을 움직이면서 가스 배출을 하시면 훨씬 편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15. Q

    조직 검사 결과는 언제쯤 볼 수 있나요? 

    보통은 일주일 후에 결과가 나오므로 외래에서 담당과장님께 진료 받으실 때 상세한 설명을 드립니다.

  16. Q

    검사가 많이 아프다고 하는데 괜찮아요? 

    위 내시경의 경우 목으로 내시경이 지나가니까 구역질이 나거나 거북하여 힘들지만 아프진 않습니다. 대장내시경검사의 경우 대장이 1.5m가 넘기 때문에 위 검사와는 달리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장이 꾸불꾸불해서 많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 배가 빵빵해질 수 있으나 방귀로 공기를 배출하시면 다소 편해집니다. 

    시작하기 전에 진통제가 들어가니 크게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17. Q

    건강검진시 금식을 해야하나요? 

    일반검진시 혈액검사항목이 있으므로 금식후 검사받으시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위암검진과 간암검진을 받을 경우에도 금식이 필요합니다. 나머지 암검진은 금식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18. Q

    건강검진을 받을시 예약이 필요한가요? 

    일반검진과 유방/대장암/자궁경부암 검진은 예약은 따로 필요없으시고 오전 9~11시 사이에 내원해주시면 됩니다. 위암검진 중 위내시경과 간암검진 간초음파 검진을 원하는 경우는 예약이 필요합니다.

  19. Q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은 확인이 가능한가요? 

    나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확인후 검사항목 조회후 검사항목 안내가 가능합니다.

  20. Q

    입원 수속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1. 원무팀 접수 → 2. 진료과 입원 승인 → 3. 원무팀 입원창구에서 입원 수속 → 4. 검사 또는 병동

  21. Q

    보험금 청구를 위해 어떤 서류를 보험회사에 제출해야 하나요? 

    가입한 보험사마다 가입 조건에 따라서 요구하는 서류가 상이하여 정확하게 안내는 어렵습니다. 가입된 보험사에 직접 안내 받으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아래 내용은 보편적으로 발급되는 서류를 안내한 것으로 가입한 보험사에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실손 통원비
    - 진료(통원)확인서: 병명 기재
    -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 진료비 세부내역서
    2. 실손 입원비
    - 입퇴원 확인서
    -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 진료비 세부내역서
    3. 수술비
    - 수술확인서(병명, 질병 분류 코드, 수술명, 수술 날짜)
    4. 진단비
    - 진단서(병명, 질병 분류 코드, 진단명, 진단일,최종 진단 여부, 수술관련 내용 등)
    - 진단을 위해 검사한 각종 검사 결과지
      예) 조직검사 결과지, 혈액검사 결과지, 영상 검사결과지, 등

  22. Q

    상병명 또는 상병코드가 기재되는 서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진료확인서, 입퇴원확인서, 진단서, 소견서 등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발급비용이 상이합니다.

  23. Q

    제증명 내용 수정이 필요합니다. 

    발급 받으신 서류에 내용이 잘못 기재된 경우 원본 지참하셔서 내용 수정하신 후 재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24. Q

    상병명 또는 상병코드 등 유선상으로 확인 가능한가요? 

    환자의 진료정보는 개인정보이므로 유선상으로 알려드릴 수 없습니다. 확인이 필요한 경우 본인 또는 대리인(대리인의 경우 구비서류 지참)이 내원하셔서 필요하신 제증명 또는 의무기록사본을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25. Q

    주차장 이용 시 비용이 어떻게 되나요?? 

    본원 홈페이지 이용안내 > 주차안내에 안내되어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26. Q

    대표전화, 예약센터에 왜 전화가 안 되나요? 

    월요일 또는 휴일 다음날인 경우 통화량이 많아 연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가급적 오후시간이나 다른 요일에 이용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00m
Kakao 맵으로 이동(새창열림)
카카오맵